2025-01-14 12:28
업계에서트럼프 재선 확정! 원달러 추세는 어떻게 될까?
다가오는 2025년 1월 20일, 트럼프 2기가 출범합니다.
매번 새로운 미국 대통령이 취임되면 외환 시장에는 구조적인 변화가 발생해 왔는데요.
트럼프의 주요 선거 공약을 기반으로 원달러 환율은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아봅시다.
먼저 간단하게 지난 1기에서 원달러는 어떤 추세를 보였는지 확인해 볼까요?
[트럼프 1기, 원달러 환율 추세 돌아보기: 상승과 하락의 반복]
[원인] 2016년 11월, 트럼프는 대선 승리 확정 후 연설에서 '강달러로 인한 미국 수출 경쟁력의 하락과 무역적자 심화'를 지적
[결과] 해당 발언으로 인해 당시 원달러 환율의 일시적 하락
[원인] 2018년 초, 트럼프 행정부는 타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전쟁을 시작 & 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시작
[결과] 달러화로 자금이 대거 유입 & 원달러 환율 급등
[원인] 2020년 5월, 미국에서 코로나19가 확산되며 경제 불확실성 심화
[결과] 원달러 하락
[트럼프 2기, 정책 발표 시기 예상하기]
무역과 이민 정책은 대통령의 행정 명령으로 시행 가능하기 때문에 빠르게 정책 발표가 가능합니다.
반면, 재정과 산업 정책은 의회 투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정책 실행 주기가 깁니다.
하지만, 현재 의회는 공화당이 의회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투표는 빠르게 통과할 수 있고, 다음 총선에서도 공화당이 의회를 장악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따라서, 오히려 주기가 긴 재정과 산업 정책이 먼저 발표되고 그 뒤에 늦어도 26년 초에는 무역 관세 정책이 시행될 수도 있어 보입니다.
[트럼프 2기, 그래서 원달러는 어떻게 될까?]
트럼프는 저번과는 달리, 이번 선거에서 승리 후 강달러를 지적하는 대신, 무역 관세 부가를 예고하며 강달러가 유지되었습니다.
미국 보호 무역 정책으로 미국 인플레이션이 하락세에서 벗어나면, 원달러가 하락될 가능성은 더 낮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재정과 산업 정책이 우선 추진될 가능성이 높아, 시장의 관심은 미국 주식 시장으로 전환되고,
원달러 환율은 연준의 금리 인하 영향으로 하락 조정을 받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노동 시장과 물가에 타격을 주는 이민 정책과 무역 정책이 시작되면,
원달러는 하락점에서 다시 상승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본 이 기사의 내용은 저자의 개인적 견해를 나타내며 WikiFX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이 정보는 참고용일뿐이며 투자를 권하지 않습니다.
투자에는 항상 위험이 따르므로, 투자 시 자체적으로 판단하거나 전문 재무 컨설턴트의 조언을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좋아요 0
WikiFXKorea
거래자
인기있는 콘텐츠
시장 분석
투자주체별매매 동향
시장 분석
유로존 경제 쇠퇴 위기 직면
시장 분석
국제 유가는 어디로
시장 분석
미국증시 레버리지(Leverage)·인버스(Inverse)형의 ETF, 최근 사상 최대 신
시장 분석
투기장 된 원유 ETL...첫 투자위험 발령
시장 분석
RBNZ 양적완화 확대
포럼 카테고리
플랫폼
전시회
대리상
신병 모집
EA
업계에서
시장
인덱스
트럼프 재선 확정! 원달러 추세는 어떻게 될까?
| 2025-01-14 12:28
다가오는 2025년 1월 20일, 트럼프 2기가 출범합니다.
매번 새로운 미국 대통령이 취임되면 외환 시장에는 구조적인 변화가 발생해 왔는데요.
트럼프의 주요 선거 공약을 기반으로 원달러 환율은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아봅시다.
먼저 간단하게 지난 1기에서 원달러는 어떤 추세를 보였는지 확인해 볼까요?
[트럼프 1기, 원달러 환율 추세 돌아보기: 상승과 하락의 반복]
[원인] 2016년 11월, 트럼프는 대선 승리 확정 후 연설에서 '강달러로 인한 미국 수출 경쟁력의 하락과 무역적자 심화'를 지적
[결과] 해당 발언으로 인해 당시 원달러 환율의 일시적 하락
[원인] 2018년 초, 트럼프 행정부는 타국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무역전쟁을 시작 & 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이 시작
[결과] 달러화로 자금이 대거 유입 & 원달러 환율 급등
[원인] 2020년 5월, 미국에서 코로나19가 확산되며 경제 불확실성 심화
[결과] 원달러 하락
[트럼프 2기, 정책 발표 시기 예상하기]
무역과 이민 정책은 대통령의 행정 명령으로 시행 가능하기 때문에 빠르게 정책 발표가 가능합니다.
반면, 재정과 산업 정책은 의회 투표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정책 실행 주기가 깁니다.
하지만, 현재 의회는 공화당이 의회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투표는 빠르게 통과할 수 있고, 다음 총선에서도 공화당이 의회를 장악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따라서, 오히려 주기가 긴 재정과 산업 정책이 먼저 발표되고 그 뒤에 늦어도 26년 초에는 무역 관세 정책이 시행될 수도 있어 보입니다.
[트럼프 2기, 그래서 원달러는 어떻게 될까?]
트럼프는 저번과는 달리, 이번 선거에서 승리 후 강달러를 지적하는 대신, 무역 관세 부가를 예고하며 강달러가 유지되었습니다.
미국 보호 무역 정책으로 미국 인플레이션이 하락세에서 벗어나면, 원달러가 하락될 가능성은 더 낮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재정과 산업 정책이 우선 추진될 가능성이 높아, 시장의 관심은 미국 주식 시장으로 전환되고,
원달러 환율은 연준의 금리 인하 영향으로 하락 조정을 받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노동 시장과 물가에 타격을 주는 이민 정책과 무역 정책이 시작되면,
원달러는 하락점에서 다시 상승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본 이 기사의 내용은 저자의 개인적 견해를 나타내며 WikiFX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이 정보는 참고용일뿐이며 투자를 권하지 않습니다.
투자에는 항상 위험이 따르므로, 투자 시 자체적으로 판단하거나 전문 재무 컨설턴트의 조언을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좋아요 0
나 도 댓 글 달 래.
제출
0코멘트
댓글이 아직 없습니다. 첫 번째를 만드십시오.
제출
댓글이 아직 없습니다. 첫 번째를 만드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