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한 시중은행 대출창구 전경. 사진 출처 = 연합뉴스5대 시중은행 연체율이 1년 전과 비교해 2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된 금리 인상 여파와 경기둔화 영향마저 겹치면서 기업과
한 시중은행 대출창구 전경. 사진 출처 = 연합뉴스
5대 시중은행 연체율이 1년 전과 비교해 2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누적된 금리 인상 여파와 경기둔화 영향마저 겹치면서 기업과 가계가 상환 한계를 맞았다는 우려가 나온다.
최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도 향후 긴축 기조를 더 이어갈 수 있다고 밝힌만큼, 당분간 고금리가 이어질 전망이다. 한계차주는 계속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시중은행의 연체율 상승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9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5월 신규 연체율(잠정) 평균은 0.09%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신규 연체율(0.04%)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신규 연체율은 당월 신규 연체 발생액을 전월 말 기준 대출잔액으로 나눈 값으로, 새로운 부실이 발생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5대 시중은행의 신규 연체율 평균은 지난해 1∼7월 0.04%로 변동이 없다가 8월 0.05%로 올라선 뒤 10월까지 같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어 지난해 11월 0.06%, 12월 0.07%, 올해 1월 0.08%, 2월 0.09%까지 치솟았다.
은행들이 연체율 관리에 나서면서 3월 0.07%로 일시적으로 하락했지만, 4월 0.08%, 5월 0.09%로 다시 2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었다.
5월 가계 신규 연체율이 0.08%로 1년 전(0.04%)의 2배였다. 기업 신규 연체율은 0.11%로 전년 동월(0.05%)의 2배가 넘었다.
신규 연체 증가는 은행 전체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5대 시중은행의 5월 말 기준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평균 0.33%로 집계됐다. 이는 4월(0.31%) 대비 0.02%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또한 전년 동월(0.20%)과 비교해도 0.13%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5대 은행 원화 대출 연체율은 지난 1월 0.26%에서 2월 0.31%로 0.3%대에 진입한 뒤 3월(0.27%) 소폭 하락했지만, 4월(0.31%)과 5월(0.33%) 다시 상승세를 나타냈다.
5월 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0.29%, 기업대출 연체율은 0.37%로 한 달 전과 비교해 각각 0.02%p, 0.04%p 높아졌다. 지난해 5월(각각 0.16%, 0.22%)와 비교하면 0.13%포인트, 0.15%포인트씩 올랐다.
은행 여신 건전성도 빠르게 악화되고 있다.
5대 시중은행의 5월 말 기준 고정이하여신(NPL)비율 평균은 0.29%다. 이는 전달(0.27%) 대비 0.02%포인트, 전년 동월(0.25%)과 비교하면 0.04%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은행 총여신 중 부실채권을 의미하는 고정이하 여신(3개월 이상 연체)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은행 자산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삼는다. 통상적으로 연체율이 상승하면 시차를 두고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올라가게 된다.
가계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5월 0.21%다. 4월(0.19%) 대비 0.02%포인트, 전년 동월(0.16%)과 비교하면 0.05%p 상승했다. 기업은 5월 0.35%로 전월(0.33%)과 전년 동월(0.32%) 대비 각각 0.02%포인트, 0.03%포인